예식장 선택시 고려해야 할부분들을 살펴보자
1. 위치와 교통을 고려한다. 예식 장소는 찾기 쉽고 여러 사람의 오가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곳으로 정한다. 또한 주차시설이나 대중교통편, 셔틀버스 운행등도 고려한다.
2. 나에게 맞는 결혼비용의 예식장을 선택한다. 예식장측의 꼬임에 넘어가 고가 드레스를 빌린다거나, 부대시설을 이용하여 지나친 지출을 하지 않도록 주의 하자.
비용을 줄이면서 기억에 남는 결혼식을 하고 싶다면 웨딩 카 장식, 웨딩 뮤직 연주, 웨딩 이벤트 중 한 가지만을 택해 분위기를 더하도록 한다. 가장 적은 부담으로 결혼식을 치르려면 무료 예식장을 이용하는 것이 현명하다.
3. 예식홀 예식홀은 결혼식이 진행되는 곳인 만큼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예식홀의 수, 좌석수, 홀분위기, 인테리어, 조명, 피아노 조율상태,축의금 받는 장소,벽과 바닥의 청결 상태 등을 체크하고 예식 시간이 여유있는지, 피로연장 이용에 불편이 없는지도 챙긴다..
4. 예식장 진행요원
예식홀 진행자나 피로연장에서 서빙하는 사람들이 손님들에게 친절한지, 음식 서빙을 제대로 하는지, 하객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지 등을 살피면 신부 대기실 또는 폐백실에서 어느 정도 신부를 꼼꼼히 살피고 도와주는지 예상할 수 있다. 요즘은 일반 웨딩홀도 수준 높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곳이 많다.
6. 부대시설 신부 대기실의 여유 공간, 엘리베이터, 폐백실의 인테리어나 공간 확보, 하객들을 위한 휴게실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지, 화장실은 깨끗한지 등을 체크한다. 부족한 것들은 대처방법이나 해결방법 등이 있는지 점검하고 신부가 직접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11. 옵션 항목 예식 비용과 옵션 항목을 고려하여 예식장을 결정한다. 예식장 대여료, 폐백실이용료, 사진 및 비디오 촬영비, 웨딩드레스와 턱시도 대여료, 신부 화장과 헤어, 피로연, 음향과 조명 등이 그것. 예식장측에서 이런 옵션을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강요하지는 않는지 주의해야 한다. 대부분의 예식장에서는 원하는 항목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시즌이 되면 끼워팔기 횡포가 속출하기 때문이다.
3. 음식 결혼식에서 가장 선호하는 메뉴는 갈비탕이다 . 그밖에 뷔페나 양식, 한식, 중식,일식등 다양한 메뉴가 있으므로 하객들의 취향과 예식장소의 분위기등을 고려하여 정하자 음식의 종류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음식의 맛이다. 사전에 예식장소에서 미리 시식을 해보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다.
9. 주변환경 혼잡하지 않고 조용한 분위기에서 결혼식을 진행할 수 있도록 예식장 건물 자체 뿐 아니라 주변 환경도 살펴보자. 주변에 공사를 한다거나 교통량이 많아 시끄럽고 혼잡한지를 체크하자.
10. 이벤트 공항까지 리무진으로 에스코트를 해주는 곳, 와인병에 신랑 신부 사진을 부착하는 와인 라벨 서비스를 하는 곳도 있듯 예식장들이 내세우는 이벤트들이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신랑 신부의 어릴적 모습을 슬라이드로 보여주는 기발한 아이디어 서비스도 있으니 잘 비교해본다.
출처 : 여성 커뮤니티 Wef (웨프)
결혼전문지 wedding21
- 저작권자 ⓒ웨프(wef.co.kr),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