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준비·예절

[추석특집] 며느리를 위한 추석생활백서, 차례상 차리기

웨딩21뉴스_ 2022. 9. 7. 17:43

결혼을 앞두고 맞이하는 명절은 며느리들에게 기회이자 위기다.

이날을 기회 삼아 더욱 사랑받는 며느리가 되고자 한다면, 기본적인 인사법부터 차례상 차리는 법까지 꼼꼼하게 확인하고 귀성길에 오르자.

더반찬& 추석위한 명절 음식 기획전


 차례상 차리기

차례는 기제사보다 절차가 간단한 약식 제사를 말한다. 그래서 축문이 없고 술을 한번만 올리며 제사 순서를 서너가지 생략하기도한다.

또한 추석에는 송편을, 설에는 떡국을 상에 올리는 것이 특징이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차례 지내는 방법은 지역이나 집안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공통적으로 행해지는 부분만 참고하자.

 차례상 준비하기

‘메’는 밥을,‘ 갱’은 국을 뜻하는 말로 흰밥과 나물국을 준비해야 한다. 술을 뜻하는 ‘제주’는 맑은 술을 사용한다. 탕은 육탕, 어탕, 소탕이 3탕을 기본으로 하지만 한 종류만 준비해도 된다.

‘삼채’는 재배 채소를 뜻하는 ‘농채’와 산나물을 뜻하는 ‘산채’, 들나물을 뜻하는 ‘야채’로 준비해야 하나 구하기 쉬운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등 삼색 나물을 올려도 된다.

생선은 조기, 방어, 홍어, 문어 가운데 한두가지만 준비하고, 육류는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중에서 하나만 한다. 포는 구하기 쉬운 북어나 가오리등으로 준비한다.

전은 채소전, 생선전, 육전 중 하나만 하면 되는데, 생선과 육류를 준비했다면 채소전을 준비하는 게 좋다.

떡은 콩가루나 팥고물을 묻힌 것으로 하나만 올린다. 과자는 산자, 다식, 약과 등을 준비할 수 있는 만큼 준비하면 되고, 두부는 넓게 잘라 기름에 지진다. 과일은 대추, 밤, 감, 배, 사과 또는 계절 과일 한두 가지를 올린다.

간장은 맑은 집간장으로 준비해 음식의 간을 맞추고, 전을 찍어 먹기 위해 간장에 식초를 탄 초간장도 준비한다.

 알고보면 쉬운 차례상 차리기

차례상 차리기야말로 예비 며느리들이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부분.

‘어동육서’니 ‘홍동백서’니 하는 생소한 말에 지레 겁을 먹기 쉽지만, 줄마다 놓는 순서를 보면 그리 복잡하지 않다.

차례상은 보통 5열로 음식을 놓는다. 1열에는 과실과 조과를 놓는데, 먼저 기본‘4과’로 불리는 대추, 밤, 배, 감을 좌에서 우로 올린다. 기본 4과를 놓은 다음에는 목과, 만과, 초과, 조과 순으로 진설(陳設, 제사나 잔치 때 법식에 따라 음식을 상 위에 차려 놓는 것)한다.

목과는 은행 등 나무에 달려 있는 과실, 만과는 줄기에 달린 과실, 초과는 땅 위에서 자라는 과실, 조과는 유과나 약과처럼 손으로 만든 과자류를 뜻한다.

2열에는 나물 같은 밑반찬을 놓는다. 가채인 콩나물, 산채인 고사리, 해채인 미역 등 3채와 간장 생채, 두부적, 달걀, 식혜 등을 올린다. 채수는 가채보다 산채를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산채를 가채의 왼쪽에 놓아야 한다.

3열은 탕류를 진설하는 줄. ‘ 3탕’이라 부르는 육탕, 어탕, 소탕을 놓는데 한 가지만 준비해도 된다. 4열은‘도적 줄’이라 부른다.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를 포함한 육류와 생선으로 만든 고기포, 육적, 어적, 소적을 놓는다.

5열은 밥, 국, 떡, 국수를 놓는 ‘반갱병면 줄’. 추석 차례상에는 송편이 올라가는 것이 특징이다. 수저와 술잔 등은 4열과 5열 사이에 놓아야 하며 밥, 국, 탕 등은 식지 않도록 차례를 올리기 직전 그릇에 담아야 한다.

 차례 지내는 순서

1 강신 - ‘신위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라는 의식’을 뜻한다. 제주가 신위 앞에서 향을 피우고 두 번 절한다. 음술을 따라올리고 다시 두 번 절한다.

2 참신 - 제주를 제외한 차례참석자 모두 재배를 한다.
※ 신주를 모실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으로 모실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3 초헌 - 첫 번째 잔을 올린다.술을 모사에 세 번을 나눠 조금씩 붓는다. 밥뚜껑을 연 후 모두가 꿇어앉고 축문을 읽는다. 모두 일어나 제주만 재배한다(추석차례는 대부분 축문읽기를 생략한다).

4 아헌·종헌 - 아헌은 주부(主父)가 두 번째 잔을 올린 후 네 번 절하는 것을 말한다. 종헌은 세 번째 잔을 올리는 절차로 제주의 동생이나 가까운 친척이 잔을 올리고 제주가 재배한다.

5 유식 - 숟가락은 밥에 꽂아 놓고, 젓가락은 시접에 나란히 놓는다.

6 헌다 - 국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다. 밥을 조금씩 세 번 떠서 그 숭늉에 말고, 숭늉그릇에 수저를 걸친다음 잠시 읍한다.
※ 요즘에는 아헌과 종헌, 헌다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7 철시복반 - 수저를 거두고 밥뚜껑을 덮는다.

8 사신 - 차례참석자 모두 재배한다.

9 철상 - 술잔을 내리고 뒤쪽부터 상을 치운다.

10 음복 - ‘조상이 내린 복된 음식’을 뜻하는 말로, 차례가 끝난 후 제주부터 술을 한 잔 부어주고 술과 음식을 모두 나누어먹는다.

 외워두면 유용한 진설 순서

고비각설 - 내외분이라도 남자 조상과 여자 조상의 상을 따로 차린다.

고비합설 - 내외분일 경우 남자 조상과 여자 조상의 상을 함께 차린다.

반서갱동 -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놓는다. 산 사람과 반대로 놓으면 된다.

시접거중 - 수저 담은 그릇은 신위 앞 중앙에 놓는다.

잔서초동 - 술잔은 서쪽, 초접은 동쪽에 놓는다.

적전중앙 - 적은 중앙에 놓는다.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놓는다.

두동미서 - 제수의 머리는 동쪽이고,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면서병동 - 국수는 서쪽, 떡은 동쪽에 놓는다.

숙서생동 - 익힌 나물은 서쪽, 김치는 동쪽에 놓는다.

건좌습우 - 마른 것은 서쪽, 젖은 것은 동쪽에 놓는다.

접동잔서 - 접시는 동쪽, 잔은 서쪽에 놓는다.

조율이시 -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으로 놓는다.

좌포우혜 -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다.

홍동백서 - 붉은색 과일은 동쪽, 흰색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 더 다양한 소식은 웨딩21뉴스에서 http://wedding21news.co.kr
♥ 다음(Daum) 웨딩21뉴스 구독하기 https://v.daum.net/channel/259/home
♥ 보도자료 접수 메일 news@wedding21news.co.kr
Copyright ⓒ 웨딩21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