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준비·예절

[결혼 검색 웨프] 종교에 따른 예식 알아보기

웨딩21뉴스_ 2006. 4. 8. 10:15


 천주교성당결혼식

기독교 예식처럼 어느 한쪽이 신자이어야 함은 물론이고 그 배우자 또한 결혼 전에 세례를 받거나 교리 공부를 해야 한다.또한 장차 종교생활을 함께 할 것을 서약해야 한다. 성당 결혼식의 경우 이미 결혼을 한 사람들이 한쌍정도 증인을 선다. 성당 결혼식은 교회의 예배처럼 간단하지가 않기 때문에 오신 하객들은 미사의 절차 때문에 당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하객들이 당황하지 않도록 안내문에 예식에서 부를 성가나 성서 구절, 기도 등을 잘 표시해 두어야 한다.

<성당결혼식 절차>

1. 신랑신부의 증인 등단
2. 신랑 신부 입장
3, 기도와 축사
4. 성서낭독
5. 신랑 신부 악수
6. 예물 교환
7. 서약사
8. 성가(성가대)
9. 결혼증명서 서명 날인
10. 신랑신부 행진

 법당 결혼식

불교에서는 부처님이 전생에 맺어진 인연을 다시 만나게 해주는 게 부부라 생각한다. 혼례식장은 본당에 마련되며 불단 앞에 향로와 향초를 놓고 그뒤에 집전 스님이 자리한다. 집전스님의 뒤에는 신랑 신부의 자리가 있고(신랑 신부의 위치는 부처님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왼쪽이 신랑, 오른쪽이 신부가 된다) 그 옆이 양가 부모의 자리가 된다. 그리고 신랑 신부의 뒤는 내빈들의 자리가 된다.

혼례식장은 질의 본당에 마련하는 것이 상례이며 불단 앞에 향로와 향촉을 놓고 그 뒤에 집전 스님의 자리를 마련한다. 집전 스님의 자리 뒤에는 신부 신랑의 자리가 있고 그 옆이 양가 부모의 자리가 된다. 그리고 신랑 신부의 뒤는 내빈들의 자리가 된다. 신랑 신부의 위치는 부처님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왼쪽이 신랑, 오른쪽이 신부가 된다.

<법당에서의 결혼식 절차>

1. 내빈 참석
2. 사혼자 입당
3. 신랑 신부 입장
4. 독경
5. 고유문 낭독
6. 상견례(신랑 신부 진배)
7. 염주 수여
8. 사혼사 낭독
9. 신랑 신부 소향
10. 독경
11. 신랑 신부 퇴석
12. 사혼자 및 참석 자퇴석 등의 절차에 의해 치러진다.

 기독교

-기독교식 결혼식의 혼례절차-

기독교식 결혼식은 교회를 예식장으로 사용하며 주례는 목사가 담당한다. 결혼을 단순히 사람과 사람의 약속이 아닌 하나님을 향해 올리는 맹세에 의의를 둔다. 교회에서 예식을 치루기 위해서는 양가 중 어느 한쪽이 다니는 교회가 있어야 한다. 결혼진행은 예배의 형식으로 진행되므로 오시는 하객들은 미리 자리에 착석하여 예식준비를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 주례등단
사회자가 개식 선언을 하게되면 주례를 맞은 목사가 단상에 등단한다.

* 신랑, 신부 입장
일반 예식과 마찬가지로 신랑이 입장하고 신부는 아버지와 함께 결혼 행진곡에 맞춰 입장하게 된다.

* 성경낭독 및 기도와 서약
목사가 성경낭독을 한 다음 신랑 신부를 위한 기도를 올린다. 이어 두 사람이 살아가면서 필요한 말을 한후 신랑 신부에게 서약을 받는다.

* 예물교환
교회에서는 중요한 의식으로 삼는 반지 교환을 거행한다. 그러나 요즘은 이 순서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 결혼 성립 선언
예물교환을 맞치면 목사는 두 사람의 손위에 자기손을 엊은 후 기도를 드리고 두사람의 결혼이 성립되었음을 선언한다

* 축가,찬송가,축복기도
결혼을 축하하는 성가를 부르고 모두 함께 찬송가를 부른다음 모두자리에서 일어나 축복 기도를 드린다.

* 가족 대표 인사
가족중 대표가 사회자석으로 나가 내빈께 감사의 인사를 올리고 나면 사회자나 목사가 광고를 한다.

*  신랑 신부 배례 및 행진
신랑 신부가 내빈께 인사를 드린수 일반 예식장에서와 같이 입구쪽을 향해 행진을 한다.

 

 

출처 : 여성 커뮤니티 Wef (웨프)

 

 

결혼전문지 wedding21

- 저작권자 ⓒ웨프(wef.co.kr),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